인터뷰 1.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창시자 - 로드 존슨
소개
- 컨설팅 및 테크놀로지 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
- 핵심 기술 - 스프링 프레임워크 는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Wrox, 2002)]에 사용된 예제에서 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 19세기 피아노 음악 박사학위, C++, Java 개발자
비기술적 자질
- 정도와 사도에 관해
- 최신 기술 동향
<중략>...
- 기사를 읽을 때 이해를 돕기 위해 SQ3R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 자바를 선택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 자바의 어떤 면이 더 나은언어라 말씀하시는 건가요?, 링커나 단순화된 문법도 지원되지 않았는데요.
- 그렇군요. 다중 상속과 포인터를 제거해 버린 것 말이죠.
- 자동 가비지 컬렉션은 어떻게 보십니까
생각해 볼꺼리. 다중상속을 제거해야 되는 이유에 대해 찾아보기
- 이 경우 개발자들이 선언이나 Try, Throw, 예외 검출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을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말인가요?
로드 : 저도 시간 사용에 대한 지각이 미미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평균치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차이만으로도 많은 이득을 얻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가에 관한 자각이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군요. 또 다른 면으로는 무지가 있을 텐데요. 자신의 무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죠?
로드 : 도움을 청해야 할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도음을 받는 방법으로는 기술 지원 부서에 전화를 하거나 동료 또는 선/후배의 지원, 포럼에서 질의하는 방법 등이 있겠죠. 소프트웨어 산업에 종사하는 한 교묘하게 계속 고난을 회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중략>
일종의 자기도취에 빠져서 자신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이상한 일들을 서슴없이 하고 기본적으로 자신의 무지에 절대 맞서려 하지 않습니다.
우선, 자신의 한계점을 모른 채 무엇을 개선할 수 있겠습니까? 나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아무것도 배울 수 없을 거라는 말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