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10일 토요일

[Linux] 용어 정리

[mount]
[dash]
[.so] - (shared object)
[shared library]
[permission]
[umask]
[telnet]


[Java] Abstract Class, Interface


[세상을 뒤흔든 프로그래머들의 비밀] 1. 로드 존슨

Rod Johnson
인터뷰 1.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창시자 - 로드 존슨

소개
  •  컨설팅 및 테크놀로지 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
  • 핵심 기술 - 스프링 프레임워크 는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Wrox, 2002)]에 사용된 예제에서 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 19세기 피아노 음악 박사학위, C++, Java 개발자

비기술적 자질
  • 정도와 사도에 관해
로드 :  <중략>... 정도라함은 그것이 쉽고 또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만약 자연스럽지 못하다면 코드 이전의 환경적인 문제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이상 신호지요.

  • 최신 기술 동향
로드 :  Serverside, InfoQ와 같은 포럼을 살펴보는데 항상 적절한 시간을 배분하고 있어요.
<중략>...

  • 기사를 읽을 때 이해를 돕기 위해 SQ3R 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로드 :  추상화 수준을 달리하면서 읽으려고 노력합니다. ..<중략>... 어떠한 정보를 접 할 때 작용하는 저만의 프로세서라 할 수 있겠네요.

  • 자바를  선택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로드 : 자바로 애플릿 구현(1996년),<중략>간혹 저에게 조언을 해주던 한 동료로 인해 자바가 하나의 진정한 언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중략> 1.1 이전의 자바를  C++와 비교하면 언어라고 하기 힘든 수준이었죠.

  •  자바의 어떤 면이 더 나은언어라 말씀하시는 건가요?, 링커나 단순화된 문법도 지원되지 않았는데요.
로드 : 문제를 일으킬만한 기능을 제거해 버렸다는 사실. 그로 인해 언어가 한결 나아졌어요.

  • 그렇군요. 다중 상속과 포인터를 제거해 버린 것 말이죠.
로드 :  그 전에는 없어도 될까 하는 의구심이 앞섰던 게 사실이죠. 또 어떻게 보면 왠지 어려운 것이 더 좋을 것이라는 생각도 그 배경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 자동 가비지 컬렉션은 어떻게 보십니까
로드 : 전체 패키지의 일부 기능이죠. 가비지 컬렉션 관련 문제나 메모리 관리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은 거의 없습니다. 보통 문제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범주의 문제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범주의 문제들을 제거하는 순간 엄청난 능률 향상을 얻게 됩니다.
생각해 볼꺼리. 다중상속을 제거해야 되는 이유에 대해 찾아보기

  • 이 경우 개발자들이 선언이나 Try, Throw, 예외 검출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을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말인가요?
로드 : 저도 시간 사용에 대한 지각이 미미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평균치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차이만으로도 많은 이득을 얻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가에 관한 자각이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군요. 또 다른 면으로는 무지가 있을 텐데요. 자신의 무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죠?
로드 : 도움을 청해야 할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도음을 받는 방법으로는 기술 지원 부서에 전화를 하거나 동료 또는 선/후배의 지원, 포럼에서 질의하는 방법 등이 있겠죠. 소프트웨어 산업에 종사하는 한 교묘하게 계속 고난을 회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중략>
일종의 자기도취에 빠져서 자신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이상한 일들을 서슴없이 하고 기본적으로 자신의 무지에 절대 맞서려 하지 않습니다.
 우선, 자신의 한계점을 모른 채 무엇을 개선할 수 있겠습니까? 나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아무것도 배울 수 없을 거라는 말입니다.





2016년 9월 8일 목요일

[2016.09.08 - 뜨거운 감자 in Computer Science]

1. 라즈베리파이
https://namu.wiki/w/%EB%9D%BC%EC%A6%88%EB%B2%A0%EB%A6%AC%20%ED%8C%8C%EC%9D%B4(%EC%BB%B4%ED%93%A8%ED%84%B0)

https://ko.wikipedia.org/wiki/%EB%9D%BC%EC%A6%88%EB%B2%A0%EB%A6%AC_%ED%8C%8C%EC%9D%B4

2. 델타 항공 시스템다운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60905080503&lo=z46

요약

사태 : 8월 8일 월요일, 미국 델타 항공의 컴퓨터 시스템이 다운됨.
여파 : 2,100대가 넘는 비행기 운항이 전면적으로 중지됨
원인 : 8월 8일 새벽에 발생한 정전사태, 아틀란타에 있는 델타 항공 본사의 전기공급 시스템에 작은 화재가 발생하였고, 중앙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중지 메인 전력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즉각적으로 동작을 개시하기로 되어있는 백업시스템마저 오동작을 일으켜서 문제가 걷잡을 수없이 확대되었다.
■ 델타항공, 1960년대 설계한 메인프레임 사용
■ IT가 비용이란 인식이 혁신의 걸림돌



3. 인터파크 해킹 사고

http://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91

[미래창조과학부 주소]

http://www.msip.go.kr/web/main/main.do

[미래창조과학부 해커육성프로그램 BoB]

 
사이버보안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국보급 화이트해커 양성
- 미래창조과학부, 차세대 보안리더 제4기 발대식 개최 -
 
국회의장, 국회의원, 미래부 차관, 안보특보, 멘토 등은 선발된 140명과 정보보호 강국 초석 다짐
8개월 간의 단계별 교육 후 최고 인재 10명과 최우수 1개 팀 선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한국정보기술연구원(원장 유준상)은 7.20(월) 14시 삼정호텔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국회의원, 최재유 미래부 차관, 임종인 안보특보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보안리더(leader) 제4기 발대식을 성황리에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차세대 보안리더 발대식은 착한 해커(White Hacker) 양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과 열정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Best of the Best)”은 지난 3년* 동안 우리나라 사이버보안의 미래를 이끌어 갈 착한 해커(White Hacker) 300여명을 배출하여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는 최고의 정보보호 교육훈련 프로그램이다.
* ‘12년(1기) : 60명, ’13년(2기) : 120명, ‘14년(3기) : 122명
 
정보보호 역량이 있는 고등학생과 대학(원)생을 발굴하여 6개월간 정보보안 최고 전문가들(멘토)의 1:1 도제식 교육과 실무 프로젝트 수행을 거쳐 마지막 2개월간 최종 경연단계를 통해 최고의 착한 해커(White Hacker)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최고 인재 10명과 최우수 1개 팀에게는 해외 연수 및 창업 자금 등을 지원한다.
 
ㅇ ‘15년 제4기에는 총 725명이 지원하여, 서류전형, 인성적성검사, 필기시험 및 심층면접을 통해 140명이 선발되었다.
 
※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BoB)” 제4기 교육생 선발결과
성별 : 남 111명(79.3%), 여 29명(20.7%)
학력 : 고교생 20명(14.3%), 대학생 116명(82.8%), 기타 4명(2.9%),
연령 : 평균 21.1세
 
발대식에 참석한 정의화 국회의장은 “청년의 꿈이 나라의 미래를 바꾸다”는 주제의 특별강연을 통해 “이 시대의 리더를 꿈꾸는 여러분들의 꿈이 이루어져 선진 대한민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길 바란다”며 “정직은 리더가 반드시 갖춰야 할 기본덕목인 동시에 리더가 가질 최고의 무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최재유 차관은 “대한민국이 정보보호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창업과 해외진출에 도전과 열정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며, “정부도 전국의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창업준비와 사업화 등 창업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붙임 1.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프로그램(BoB) 개요
2.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프로그램 제4기 발대식 계획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최기갑 사무관(☎ 02-2110-293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차세대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BoB) 개요
 
□ 개 요
 
o (목 적) IT보안에 재능이 검증된 인재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전공 및 문제해결 교육(멘토링, 도제식)을 통해 차세대 정보보안 인재 양성
o (교육대상) IT보안에 재능있는 청년층(고등‧대학‧대학원생)
 
□ 교육내용
 
o (교육과정) 1단계(공통·전공 트랙), 2단계(팀프로젝트), 3단계(경연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인증
공통교육,
전공트랙교육
일부진출
팀 프로젝트 및 실무·실습
일부
진출
분야별 심화과정
(프로젝트 고도화)
선정
최고인재 및 그랑프리 선정
`15년 7-8월
 
`15년 9월~12월
 
`16년 1월~2월
 
`16년 3월
 
- 1단계 교육 시행(‘15. 7~8)
․학생 특성상 하계방학을 적극 활용한 주중 집체교육 실시
(소양 및 보안기본 과목) 정보보안 분야별 기본 기술 및 소양 교육을 진행하며, 프로젝트 주제(아이템) 선정
 
[ 정보보호분야 주요 교육내용 ]
분야
기본 개념
커리큘럼
운영
체제
운영체제에서의 보안 기법과 취약점 발생 원리 및 사례, 기본 이론 교육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법
•취약점 이해
•컴퓨터구조, 운영체제원리
네트
워크
정보보안 관점에서의 네트워크 기본론 및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방어기법 학습
•네트워크 개요
•유/무선 보안 프로토콜
•웹 보안
•기술적 방어
프로
그래밍
• 기계어와 메모리에 직접 접근 가능한 프로그래밍의 각종 기법과 특성 파악, 분석능력 학습
•프로그래밍 제작 실습
•동적/정적 링크
•소스 이력 관리
•어셈블리 언어
암호학
• 암호학 역사, 각종 암호 알고리즘, 암호 프로토콜 등의 이론학습 및 암호 메커니즘 구현 실습 과정 진행
•암호개론/고전암호
•대칭키/공개키 기반 암호
•서명/인증/키분배 기법
•암호 메커니즘 구현 실습
사이버
윤리
정보보안 기술을 악용하지 않도록 교육생들의 윤리 의식을 강화하고 사회적 영향을 인식
•인간성계발의 윤리
•IT 환경에서의 윤리
•사회문화 운동
 
 
[ 교양분야 주요 교육내용 ]
분야
기본 개념
커리큘럼
프로젝트
관리
• 프로젝트 진행 시 구체적인 계획을 확립하고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법 교육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개발방법론
의사소통
•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원활한 협업과정을 이끌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법 학습
•커뮤니케이션 유형
•커뮤니케이션 목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발표기법
청중을 이해시키고 설득하기 위해 필요한 효율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법 교육
•발표자료 작성전략
•사전 준비 사항
•효과적인 발표 기법
 
- 2단계 교육 시행(‘15. 9~12)
(주요 내용) 최대 4명의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매주 주간회의를 통해 역할 분담을 하고 소스 코드, 보고서 등의 최종 결과물 도출
(멘토링 지원) 팀원들이 선택한 프로젝트 담당 멘토는 교육생 요청 시 온/오프라인 회의에 참석하여 프로젝트 경험 및 노하우 전수 개별면담 진행
 
- 3단계 교육 시행(‘16. 1~2)
총 140명 수료 후 자문단 및 멘토단 평가를 거쳐 30명의 3단계 경연 참가자 선발
․3단계 워크숍(해커톤), 주요 보안시설 등 견학, 세계명사 특강, 모의 사이버전 실습 및 프로젝트 고도화 등 수행
 
- 3단계 경연 참가자 30명 중 최고인재(BoB) 10명 선발(‘16.3)
지속적 평가를 통한 단계별 탈락시스템 적용
o (인증) 정보보호 문제해결 프로젝트 경연 결과 및 자문단 평가를 종합하여 최종 BEST10 및 BoB 그랑프리 선정
* BoB팀 프로젝트 중 기술사업화 평가를 거쳐 1개 팀을 선정, 5,000만원의 사업화 자금 지원
 
o (사후관리) 교육 수료생들과 BoB 정보보안 연구회를 구성하여 프로젝트 수행 및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 사회 각 분야의 보안인재 진출 지원
 
□ 사업 추진 실적 및 성과
 
o 취업 및 진학 현황
구 분
예 산
교육 수료생
수료생 취업 및 진학 현황
고교‧대학(원) 재학
(210명)
취 업
(59명)
군복무
(15명)
프리랜서
(18명)
1기(’12년)
20억원
60명
39
- 대학원 12
- 대학 27
12
7
(병역특례 : 2)
2
2기(‘13년)
50억원
120명
80
- 대학원 18
- 대학 61
- 고교 1
28
6
(병역특례 : 1)
6
3기(‘14년)
35.5억원
122명
91
- 대학원 11
- 대학 68
- 고교 12
19
2
10
 
o 교육생 주요 성과현황
성과
건수
주요 내용
취약점 제보
50건
해외 브라우저 취약점 발견 및 제보 (2015)
SCADA 망 취약점 도출 및 제보 (2015)
워드 프로그램 취약점 연구 및 제보 (2014)
해외 유명 게임 취약점 발견 및 제보 (2013)
기술 발표
55건
국제 정보보안 컨퍼런스 CODEGATE 2015, 웹브라우저 보안기술 발표 (2015)
코드엔진 컨퍼런스 2014, 안드로이드 부트킷 분석 기술 발표 (2014)
공군사관학교, 취약점 분석 방안 및 익스플로잇 기법 강연 (2013)
Secuinside 2013 자동알림기 해킹 발표 (2013)
대회입상
88건
World ACM-ICPC 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Bronze Medal (2015)
화이트햇 컨테스트 일반부/청소년부 1위 (2014)
화이트햇 컨테스트 일반부 개인전/단체전 1위 (2013)
화이트햇 컨테스트 청소년부 개인전/단체전 1위 (2013)
국가정보원 주최 국가 암호 기술 공모전 최우수상(2013)
美 DEFCON 본선 진출 38명 (2012~2015)
소계
225건